본문 바로가기

강아지 신부전증5

신부전 신장 질환 의심 강아지 고양이 SDMA 검사란? SDMA는 반려동물의 혈액 내 신장 기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간단한 혈액 검사로 신장 기능을 평가하며, 신부전증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를 가능하게 합니다. SDMA 검사란? 강아지와 고양이의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조기 진단: 작은 신장 손상만 있을지라도 검사의 민감도가 높아서 신장 질환을 조기에 감지하는데 매우 용이합니다. 급진적인 신장 손상 탐지: 신장의 급격한 손상을 식별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SDMA 검사의 중요성 건강한 강아지의 모니터링: 신장 기능의 변화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신장 질환 예방: 신장 건강을 유지하여 신장 질환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신부전이 많이 진행된 강아지에게는 별 의미가 없습니다... 2024. 3. 9.
건강한 강아지에게 질병 처방식을 먹여도 될까? (신장 처방식 등) 질병 처방식이 모든 강아지에게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건강한 강아지에게 각종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처방식을 무분별하게 투여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 건강한 강아지에게 병에 대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불필요한 섭취는 그들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처방식은 특정 질병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일부 영양소가 제한되어 있고, 그로 인해 부족한 것을 보충하기 위해 다른 일부 영양소는 또 과다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건강한 강아지는 그러한 필수 영양소들의 제한, 과복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신장 처방식은? 예를 들어, 강아지의 신장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특정한 식이 요법이나 약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처방식은 신장 질환을 앓는 개체에게는 필요하지만, 건강한 강아지에.. 2024. 3. 5.
신부전을 앓고 있는 강아지 고양이의 증상 | 유의 깊게 봐야 하는 증상 첫번째 포스팅에서는 강아지의 신부전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을 알아보았다면, 오늘은 신부전을 이미 앓고 있는 강아지 고양이의 관리 중 나타날 수 있는 유의 깊게 봐야 하는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증상들이 나타난다는 것은 아이의 신장 수치가 높아졌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입을 쩝쩝 혀를 낼름신장 수치가 높아지면 강아지는 숙취나 멀미에 시달리는 느낌이라고들 합니다. 아프고 속이 메스꺼워 입을 쩝쩝거리고 혀를 낼름거릴 수 있습니다. BUN 수치와 CREA 수치가 정상이여도, PHOS(인) 수치가 높아졌다면 속이 메스꺼워 식욕부진과 더불어 해당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입 냄새어느날, 평소와 다른 것을 먹은 적이 없음에도 입에서 유독 암모니아 냄새 비슷한 안좋은 입냄새가 난다면 신장 수치가 높아졌.. 2023. 12. 28.
신부전 의심 강아지 피검사 결과 보는 방법 | 강아지 혈액검사 강아지의 신부전 초기 증상을 파악하고 예방하려면 피검사 결과표를 받아 들고 어떤 수치를 눈여겨 보아야 하는지, 그리고 그 수치를 어떻게 보는지 방법을 알아봅시다. 강아지의 신장 건강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BUN, Creatinine, 인(PHOS), NA(나트륨), K(칼륨), 그리고 SDMA 혈액검사상 수치를 다루겠습니다. BUN(요소 질소) 혈액 속에 포함된 요소질소(노폐물, 독성이라 생각하면 편합니다)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주로 신장에서 생성된 노폐물이 얼마나 잘 제거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될 경우 노폐물이 쌓여 BUN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신장이 노폐물을 충분히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으며, 배출되지 못한 노폐물들은.. 2023. 12. 25.